반응형 사이언스토리텔링81 '하울의 움직이는 성'과 열역학 제 2법칙 소피는 모자를 만들어 파는 가업을 물려받아 생계를 꾸려나가는 주인공이다. "그게 언니 꿈인 거야?"라고 묻는 동생의 말에 단지 "글쎄... 나는 장녀니까"라는 말로 뭉뚱그리는 소피에게 동생은 '자기 자신의 미래는 스스로 정하는 거다.'라는 말로 소피에게 충고를 한다. 작 중 초반의 소피는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않는 수동적인 삶을 사는, 진정한 자신의 삶을 살지 않는 주인공으로 묘사되고 있다. 불행하게도 그러한 소피에게 황야의 마녀는 세월의 흐름을 직격으로 맞게 하여 꼬부랑 할머니가 되는 저주를 내린다. '하울에게 부탁하여 저주를 풀어 보든지...'라는 말 한마디와 함께 황야의 마녀는 떠나버리고 소피는 잃어버린 젊음을 되찾기 위해 하울을 찾아 떠나게 된다. 처음에 이 영화를 보고 든 생각은 너저분한 난장판.. 2020. 8. 24. 구름을 통해 알아보는 원자물리학 '토끼와 거북'에서 거북이 승자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잠깐 자도 어차피 내가 이길 것이라는 자만심으로 가득한 토끼가 그의 대결 상대였기 때문이다. 겸손하고 성실한 토끼가 대결 상대였다면 거북이는 뭘 해도 졌을 것이고, 승부욕이 없는 거북이였다면 우화 속 자만심 가득한 토끼와 대결해도 졌을 것이다. 누구나 인정할 수밖에 없는 '토끼가 거북이보다 빠르다'와 같은 전제만 두고 본다면 거북이는 토끼를 절대 이길 수 없지만 세상은 그렇게 하나의 변수만으로 단순한 게 굴러가지 않음을 누구나 잘 알고 있다. 변수가 많다 보니 변수 간의 조합도 당연히 많을 터. 그 수많은 변수와 변수의 조합이 만드는 셀 수 없는 가짓수들 덕분에 애석하게도 우리는 한 치 앞 미래를 함부로 재단할 수 없는 노릇이다. 한 치 앞을 내다보.. 2020. 8. 20. 정규 분포로 설명되지 않는 복잡계 네트워크 많은 물체들로 이루어진 계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할 때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맥스웰의 기체 분자 운동론이나 엔트로피 등 열역학적 현상들은 통계적인 방식으로 설명했었다. 이러한 통계론적 열역학은 정규분포곡선을 기본 전제로 둔다. 한편 계를 구성하는 많은 요소들이 서로 상호 작용하여 복잡한 집합적인 특성들을 보이는 복잡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최근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림은 전 세계 공항의 국제선을 네트워크로 나타낸 것인데, 이처럼 네트워크 이론을 이용하여 복잡계의 특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복잡계 네트워크는 물리 현상뿐만 아니라 생물, 기술, 경제 분야 등의 다양한 현상들을 설명한다. 자기 조직화된 임계성 '브라질 땅콩 효과'는 크기가 각각인 여러 종류의 땅콩이 들.. 2020. 7. 1. [고급물리학 프레젠테이션] 라듐 걸스, 과학과 철학의 관계 20세기 초 어떤 과학자는 어둠속에서도 자체발광하는 희한한 물질, 라듐을 발견한다. 마리 퀴리의 라듐 발견은 과학계에서 큰 파장을 일으켰고 발견된지 2년 후 라듐이 암 치료에 큰 기여를 한다는 것이 알려져 사람들은 라듐이 건강에 매우 좋은 물질이라는 생각을 갖는다. 강장제로도 먹고, 어둠속에 빛이 나는 특징때문에 야광 손목 시계에도 라듐이 이용되고 여성의 화장품에도 이용이 되고 심지어 치아에 바르기도 했다. 그러나 라듐은 우라늄보다 훨씬 더 강력한 방사성 물질이다. 그들은 그러한 사실을 몰랐었다. 방사성 물질이 왜 위험한 지를 느낌적으로 알지만 구체적인 이유를 알고 있는 사람은 드물다. 우라늄이 분열하여 라듐이 되고 라듐은 라돈으로 라돈은 폴로늄으로 이런 식으로 계속 핵이 분열이 된다. 왜? 불안정하기 .. 2020. 6. 26.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