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도체7 [고급물리학] 소재 물리 {반도체, 초전도체, 그래핀, 레이저} 판서 조직도 문명의 발달과 궤를 같이하는 소재의 발달 세상에는 세 종류의 자원이 존재합니다. 원재료(=소재), 에너지 그리고 지식이죠. 원재료와 에너지는 고갈돼요. 반면 지식은 성장합니다. 지식은 사용하면 할수록 늘어나요. 더욱이 지식의 총량을 늘리면 그 지식은 우리에게 새로운 소재를 줍니다. 고대 사람들은 자연에서 얻은 물질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모양을 변형하여 사용했습니다. 이후에 불의 사용법을 터득한 인류는 물질의 성질을 변화시켜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내기 시작했어요. 진흙에 열을 가하여 토기를 만들거나 광석에 열을 가하여 청동이나 철을 얻었죠. 지식의 확장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일입니다. 이처럼 문명의 발달은 새로운 종류의 소재를 발견하게 해주었습니다. 과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고도의 문명을 이룩한 인.. 2024. 7. 9. 신소재의 개발과 활용 판서 조직도 1. 물질의 분류 원자는 다른 원자와 결합하여 물질을 구성합니다. 물질의 물리적 성질은 원자들의 결합 방법이나 결합의 규칙성에 따라 결정돼요. 물질에 따라 전기가 잘 통하거나 통하지 않는데 이와 관련된 물질의 성질을 전기적 성질, 자성을 나타내는 성질을 자기적 성질이라고 합니다. 1) 전기적 성질에 따른 분류 도체: 전기 저항이 작아 전류가 잘 흐르는 물질이다. ex) 철, 구리, 알루미늄 반도체: 도체와 절연체의 중간 정도의 전기적 성질을 갖는 물질로써 다른 물질을 첨가하거나 온도를 조절하여 전기 저항을 급격하게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ex) 실리콘(규소), 저마늄 부도체(=절연체): 전기 저항이 매우 커 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 물질이다. ex) 고무, 유리, 플라스틱 2) 자기적 성질.. 2024. 6. 10. 규석기 시대의 반도체 지금은 규석기 시대 20세기, 원자와 고체라는 무미건조한 물체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면 반도체는 존재할 수 없었고, 반도체가 없었다면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비롯한 IT 기기는 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낼 수 없었을 겁니다. 우리의 삶과 떼려야 뗄 수 없는 IT 기기의 중요성과 동시에 그 안에 들어가는 반도체의 재료가 '규소'라는 사실을 상기한다면 지금 우리는 규석기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그렇다면 반도체는 어떤 특성을 지녔기에 규석기 시대를 장악한 핵심 아이템이 되었을까요? 그 답은 바로 디지털(=이진법)에 있습니다. 반도체와 이진법 앞서 배웠듯이 pn 접합에 가해지는 전압의 방향은 전류 흐름의 여부를 결정했습니다. 반도체는 이러한 전류의 흐름을 정보의 최소 단위인 0과 1의 비트로 표현.. 2023. 8. 29. 에너지띠와 반도체 ① {고체의 에너지띠, 불순물 반도체} 2023.08.11 - [2023 물리학I 톺아보기] - 보어의 원자 모형(정상 궤도, 에너지 양자화) 보어의 원자 모형(정상 궤도, 에너지 양자화) 2023.08.08 - [2023 물리학I 톺아보기] - 전하와 전기력(쿨롱 법칙) 전하와 전기력(쿨롱 법칙) 물리학Ⅰ 전개도 아웃라인 목표 기출 문제 14년도 7월 학평 물리1 8번 답: 3번 1. 전기력 1) 전하와 질량 질량 gooseskin.tistory.com 물리학Ⅰ 전개도 판서 조직도 목표 기출 문제 18년도 9월 모평 물리 1 2번 답: 5번 13년도 3월 학평 물리1 8번 답: 5번 15년도 9월 모평 물리1 3번 답: 3번 1. 고체의 에너지띠 1) 고체의 에너지띠 이론 수소 원자엔 전자가 한 개 있습니다. 전자가 점유할 수 있는 궤도는 .. 2023. 8. 16.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