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64

바이러스 그리고 가미카제 톡소포자충이라는 기생충에 감염된 쥐는 고양이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이 신기한 현상은 톡소포자충이 기획한 일입니다. 톡소포자충의 목적은 중간 숙주인 쥐를 거쳐, 최종 숙주인 고양이 내장에 들어가 알을 낳고 일생을 마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톡소포자충이 쥐의 편도를 억제해, 쥐가 고양이를 두려워하지 않게 만든 것이죠. 공포를 담당하는 편도를 억제해, 쥐가 고양이를 두려워하지 않게 만든 것이죠. 공포를 담당하는 편도를 심하게 억제한 경우에는, 쥐가 고양이를 자기의 짝짓기 상대로 오판한다니 신기할 따름입니다. 고양이가 자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쥐를 잡아먹는 것은 '식은 죽 먹기'일 것입니다. 톡소포자충이 자손을 퍼뜨리기 위해 기획하고, 그에 다라 쥐와 고양이가 충직한 꼭두각시 역할을 하는 한 편의 드라마를 보.. 2019. 10. 29.
원인은 시스템에 있다! 문제가 생기면 비난할 개인이나 집단을 찾지 마라. 나쁜 일은 애초에 의도한 사람이 없어도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라. 그리고 그 상황을 초래한, 여러 원인이 얽힌 시스템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힘을 쏟아라. 마찬가지로 어떤 사람이 자기 덕에 좋은 일이 생겼다고 주장하면, 그 사람이 아무것도 하지 않았어도 어떤 식으로든 그런 좋은 결과가 나왔을지 모른다고 생각하라. 그리고 시스템에도 어느 정도 공을 돌려라. 이 책을 읽고 마냥 단편적인 시선만 제공한다고 언론을 탓하는 마음가짐을 바꾸게 되었다. 언론은 기본적으로 도덕적인 집단이 아니고, 많은 클릭수 즉 관심을 받아야 이익을 얻는 집단으로 철저히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이며 이율배반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 사업체라는 것! 그런 사실을 알았기에, 언론이 그런.. 2019. 10. 29.
보이는 게 전부가 아니다. - 우리가 공부해야 하는 이유 전체 집단의 특징을 설명할 때는 조심해야 한다. 내 경험이 '평범하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늘 열어둬야 한다. 선진국 삶의 경험을 다른 모든 단계에 일반화할 때는 조심하라. 또 다른 사람이 모두 멍청하다고 생각될 때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빈부격차가 있는 튀니지에 가면 짓다가 만 집을 볼 수 있다. 수도 튀니스에 사는 살리 집안의 집처럼 짓다가 만 집을 보면 튀니지 사람은 게으르거나 되는대로 산다고 결론 내리기 쉽다. 가장은 52세의 정원사다. 아내는 44세이고 집에서 빵 가게를 한다. 이웃집도 거의 다 2층이 짓다가 만 모습이다. 세계 어디든 2,3 단계에서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스웨덴에서 이런 식으로 집을 지었다면, 계획성이라고는 전혀 없는 사람이라거나 집주인이 도망쳤으려니 생각할 것이다. 하.. 2019. 10. 29.
산업혁명과 ATP 동물에서 ATP는 자발적인 골격근의 움직임뿐 아니라 심장이나 허파 및 소화기관 등의 작동과 체온 유지 등에 쓰입니다. ATP라는 화학에너지가 골격근 수축이라는 기계적 에너지로, 혹은 체온이라는 열에너지로 전환되는 것이죠. 생명체에서는 쉽게 볼 수 있는 이런 에너지 전환을 인간이 기계에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산업혁명 이후입니다. 산업혁명 이전의 기계들은 물의 흐름을 이용한 물레방아처럼 기계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이용하는 단순한 형태가 전부였습니다. 산업혁명 이전에 있었던 돛단배도 바람이라는 기계적 에너지를 배를 움직이는 기계적 에너지로 이용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에는 열에너지로 물을 끓여 생긴 수증기의 힘으로 배나 기차를 움직이는, 다시 말해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시킨 증기선이.. 2019. 10.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