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노트

세균과 바이러스는 어떻게 다를까?

by 사이언스토리텔러 2020. 2. 26.
728x90
반응형
728x170

세균(박테리아)
바이러스

  세균(박테리아)과 바이러스는 어떻게 다를까?

 

세균은 어쨌든 세포의 일종으로 하나의 생명체다. 하지만 바이러스는 세포 구조로 되어 있지 않고 유전 물질로만 이뤄져 있으며 단백질 덩어리가 바깥을 감싸고 있다. 크기로 보면 세균과 바이러스는 비교 대상이 아니다. 둘 다 크기가 작지만 세균은 세포 단위 이고 바이러스는 분자 단위다.

 

 

세균은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지만 바이러스는 고배율 전자 현미경으로만 관찰할 수 있다.

미생물로서 둘의 유전 방식과 번식 방식은 완전히 다르다. 세균은 분열하고 바이러스는 복제한다.

 

예를 들어 내가 세균이라고 가정해보자. 내가 번식하는 방식은 하나인 나를 쪼개 둘이 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내가 바이러스라면 먼저 내가 사는 환경에서 또 다른 나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재료를 찾는다. 그다음 나의 유전자의 구조에 따라 새로운 나를 복제한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는 세균이 바이러스를 무서워하기도 한다. 바이러스가 세균 안으로 침범해 들어가 세균에 있는 단백질을 가지고 무수한 바이러스를 복제해 결국 세균 전체를 죽이기 때문이다.

 

에이즈가 무서운 이유

 

에이즈가 무서운 이유는 세포 안으로 침투해 세포를 정상 세포처럼 보이게 한다는 점이다.

우리 인체의 모든 방어 매커니즘은 일반적인 세균과 바이러스만 식별할 수 있어서 정상 세포처럼 보이는 것들을 식별해내지 못하고 죽이지 않는다.

하지만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면 에이즈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 안에서 에이즈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

 

흑사병

...사람들이 연구해보니 이는 당시의 마멋 모피 장사와  관련이 있었다. 마멋 모피의 값이 갑자기 치솟자 많은 중국인이 모피를 얻기 위해 마멋을 포획하러 나선 것이다.

마멋은 병에 걸리면 굴 안에 있던 다른 마멋들이 병에 걸린 마멋을 내쫓았다. 병에 걸린 마멋은 눈이 침침해지고 행동도 점점 느려졌다. 경험 많은 사냥꾼들은 이런 마멋을 보면 일절 접촉하지 않았다.

하지만 중국인 사냥꾼들은 그저 돈에 눈이 멀어 이런 마멋도 모두 잡아 모피를 벗기고 심지어 고기까지 먹었다. 페스트가 창궐한 것은 바로 중국인 사냥꾼이 작업장에서 병든 마멋의 고기를 먹었기 때문이다.

흑사병이 창궐했을 때의 방역풀세팅한 의사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