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64

문명과 에너지 ① {에너지의 전환과 보존, 열기관의 열효율} 에너지의 역사 네 발로 기어 다니던 인류가 직립 보행을 하게 되면서 얻은 가장 큰 이점은 '손의 사용'입니다. 손과 뇌의 전두엽이 신경으로 이어져 있다 보니 손의 활발한 사용이 전두엽 발달을 촉진시켰고, 똑똑해진 인류는 도구와 불을 이용하기에 이르렀죠. 이때 인류는 불로 음식을 익혀먹기 시작하면서 생존 확률도 올라가게 되고, 날것을 소화시키는데 많이 사용되었던 에너지가 뇌의 발달에 쓰임으로써 생체에너지 효율이 올라감에 따라 인류 지능의 발전화에 가속이 붙었어요.  두 발로 걷기 시작한 구석기 시대의 인류와 네 발로 기어 다니는 영장류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눈을 자세히 보면 흰자위와 검은자위가 구분되는지의 여부입니다. 직립보행을 하며 네 발로 기어 다녔을 때보다 시야가 넓어진 유인원에게 어떤 진화적 기제.. 2024. 8. 12.
우주를 건너 - 백예린 {쿨롱 법칙}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노벨상을 받은 이유는 DNA의 구조, 즉 DNA를 이루는 원자들의 공간 배치를 알아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전기력을 이용하여 원자들의 공간 배치를 알아내는데요.  쿨롱 법칙에 따르면 전기력이란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으로써 전하 사이의 거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즉 전기력은 전하가 어떤 방식으로 분포되어 있는지에 대한 공간적 정보입니다. 이처럼 거리는 원자 및 분자의 구조적 특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거리가 아름다움을 만든다 거울을 볼 때 거울과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어느 한 부분밖에 볼 수 없듯이, 사람과 사람이 지나치게 가까워지면 상대방의 전체적인 모습을 볼 수 없습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도 그렇게 긴밀하고 밀착된 거보다는 조금 바람이 통하는 사이, 서로가 서로에게 특별.. 2024. 8. 10.
전하와 전기력 ① {쿨롱 법칙} 물리학Ⅰ 전개도 뉴턴의 역학은 산업혁명의 기초가 되었고,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은 별의 에너지원을 설명하여 핵에너지 시대를 열었습니다. 이처럼 세상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가 한 걸음 도약할 때마다 늘 그 뒤에는 커다란 기술 발전이 따라왔죠. 21세기 정보 혁명의 주인공, 컴퓨터와 스마트폰. 이들은 20세기 '원자'라는 무미건조한 물체에 대한 이해 없이는 존재할 수 없었을 겁니다. 물리학 1 2학기의 서사는 전자기학이 이 작은 세계의 탐구에 어떻게 기여를 했고, 그 과정 동안 자연스레 태동된 양자 역학을 살펴봄으로써 현대의 물리학이 걸어온 발자취를 따라가는 방향으로 전개됩니다. 판서 조직도목표 기출 문제14년도 7월 학평 물리1 8번답: 3번 1. 전기력1) 질량과 전하량질량은 입자의 역학적 현상에 .. 2024. 8. 8.
2024 목소리와 스토리, 그리고 발표 안데르센의 '인어공주'는 육지의 왕자를 만나기 위하여 마녀에게 자신의 목소리를 팔지만, 결국에는 모든 수고가 물거품이 되고 마는 인어의 애절한 사랑을 이야기로 한 작품입니다.   우리에게 친숙한 월트 디즈니의 인어공주는 다소 부침을 겪긴 하지만 왕자와의 쌍방 사랑을 이뤄내면서 해피엔딩을 맞이하게 됩니다. 원작과 리메이크의 결말은 다소 다를지라도 인어공주 스토리를 관통하는 주제는 똑같습니다."넌 목소리만 주면 돼. 그럼 내가 널 사람으로 만들어줄게." 근대 유럽에서 거리낌 없이 말하는 여자는 길들여야 할 말괄량이로 간주됐습니다. 당시에 말 많은 여자, 특히 인어공주의 대방어 아버지가 강요하는 규율 같은 남성의 지배 구조에 복종하지 않는 여자는 징계를 받았어요. 여성의 목소리를 악의 근원으로 보고 이를 길들.. 2024. 8.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