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 물리학I 톺아보기

운동량과 충격량(운동량과 충격량의 관계, 운동량 보존 법칙, 상대 속도)

by 사이언스토리텔러 2023. 3. 14.
728x90
반응형
728x170

물리학Ⅰ 전개도

판서 조직도

목표 기출 문제

22년도 6월 모평 물리학1 5번

답: 5번

 

21년도 4월 학평 물리학1 6번

답: 3번

 

21년도 7월 학평 물리학1 6번

답: 5번

1. 운동량과 충격량의 관계

1) 운동량과 충격량의 정의

①운동량

질량이 m인 물체가 속도 v로 운동할 때 가지는 물리량이다. 운동량은 크기와 방향을 모두 갖는 물리량이다. 기호는 P(pimentum), 단위는 kg·m/s

 

②충격량

△t동안 F가 작용할 때 물체가 받는 물리량이다. 충격량은 크기와 방향을 모두 갖는 물리량이다.

기호는 I(Impulse), 단위는 N·s

③운동량과 충격량의 관계(힘에 대한 시간적 접근)

④힘-시간 그래프와 충격량

2) 운동량과 충격량의 관계 사례 분석

①충격량 I의 극대화(F일정, △t ↑  ∴ I ↑)

(좌) 기관포                                                                                                                  (우) 자주포

기관포보다는 자주포의 사정거리가 훨씬 길다. 대포 포신의 길이가 길수록 힘 F가 작용하는 시간 △t이 길어져 더 큰 충격량을 받기 때문이다. 물체가 받은 충격량이 클수록 나중 운동량이 더욱 커지므로 멀리 날아가게 된다.

②충격력 F의 극소화 (I일정, △t ↑  ∴ F ↓)

질량이 같은 두 달걀이 자유 낙하하여 지면에 정지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같은 높이에서 동시에 떨어져 자유 낙하하기 때문에 지면에 도달할 때 두 달걀의 속력은 같다. 그러나 두 달걀은 머지않아 정지하게 된다.

달걀이 유리판에 떨어지든 방석에 떨어지든 충격을 받는 양(충격량)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유리판에 떨어지는 달걀만 깨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단 힘의 정의를 생각해 보자. 힘이란 물체의 모양을 변화시키는 원인이다. 더 극적인 모양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더 큰 힘이 필요하다. 이는 유리판에 떨어져 깨진 달걀에 그만큼 더 큰 힘 F가 가해졌다는 걸 뜻한다. 그렇다면 유리판이 달걀에 작용하는 힘 F가 방석이 달걀에 작용하는 힘 F보다 큰 이유는 무엇일까?

달걀이 방석에 떨어질 때에는 운동량이 변화(mv→0)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길고

달걀이 유리판에 떨어질 때에는 운동량이 변화(mv→0)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서 그렇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낙하 - 악동뮤지션

https://www.youtube.com/watch?v=iAFsmUMt0So 

떨어지는 낙엽은 아름답지만 추락하는 인생은 씁쓸하다. 사실 과학의 눈으로 볼 때, 물질로 이루어진 우주에 인간이 말하는 의미나 가치는 없다. 중력에 의한 물체의 낙하 자체는 아름다운 일도 불행한 일도 아니다. 낙하하는 것이 낙엽일 때 아름답고, 유리잔일 때 불행하다. 가치는 인간이 임의로 부여하는 것이다. 오늘 공부한 물리학 내용에도 인생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충돌 시간을 늘려줌으로써 물체가 받는 충격력이 줄어들었다.

학업을 비롯해 어떤 소기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열정을 단기간에 쏟아버린다면 나의 체력과 의지는 산산조각 날 요량이 크다. 따라서 무슨 일이 되었든 간에 장기간 레이스라는 관점으로 꾸준함을 유지하여야 한다.


+충격력을 극소화한 다른 사례들

2. 운동량 보존 법칙

1) 사실은 뉴턴 운동 제3법칙

두 물체가 충돌하는 시간(△t) 동안 서로에게 작용하는 힘들은 '작용 반작용 관계'에 있기 때문에 크기가 같고, 방향은 서로 반대다. 

2) 운동량이 보존되는 사례 분석

상대 속도

운동량 보존 법칙이 두 물체 간에 상호 작용하는 힘의 관계를 설명하는 뉴턴 운동 제3법칙에서 비롯되다 보니 이 단원의 기출문제에는 두 개 이상의 물체가 운동하는 상황이 자주 등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 속도에 대한 개념도 알고 있어야 한다.

상대 속도는 두 개의 운동을 하나의 운동으로 치환하는 도구이므로 보다 복잡한 상황을 단순화하는 데 의의가 있다.

도전 기출 문제

22년도 수능 물리학1 13번

답: 2번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