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싹쓰리1 싹쓰리와 빛의 이중성이 주는 페이소스 [광전효과, 빛의 입자성] 2020년 상반기를 관통하는 대중문화의 아이콘은 '미스터 트롯'과 '싹쓰리'이지 않을까 싶다. 트로트와 90년대 가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둘 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대중가요 장르였지만 시대가 변함에 따라 한물 간 콘텐츠로 밀려나버렸다. 하지만 이 비주류 문화는 기성세대의 복고 감성을 자극했다. 반면에 신세대에겐 다소 생소했던 이 문화가 새로움을 좇는 그들의 수요에 따라 뉴트로(New-tro) 문화의 소비재로 자리 잡게 되었다. 뉴트로(New-Tro)란 새로움(New)과 복고(Retro)를 합친 신조어로, 복고 문화를 새롭게 즐기는 경향을 말한다. 레트로가 과거를 그리워하면서 과거에 유행했던 것을 다시 꺼내 추억을 느끼는 것이라면, 뉴트로는 같은 과거의 것이어도 이걸 즐기는 신세대에겐 새롭다는 의미를.. 2020. 9.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