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간섭7

[2015개정 물리학1] 정상파와 빛의 간섭 1. 보어와 정상파 동일한 매질에서 진폭과 파장이 동일한 두 파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여 중첩된 결과, 어느 방향으로도 진행하지 않아 제자리에서 진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파동을 '정상파'라 한다. 정상파의 마디 양 끝 부분은 역학적으로 차폐되어있기 때문에 공기나 외부 저항이 없는 이상적인 상황이라면 계속 같은 진동수와 진폭으로 진동하게 되며, 이는 파동의 에너지는 소실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어는 '정상파' 개념을 차용하여 수소 원자의 안정성을 설명하기도 했다. 2. 정상파의 발생 동일한 매질에서의 파동(입사파, 반사파)이기에 각각의 파장과 진동수가 같다. 이때 파동의 독립성에 의거하여 중첩된 합성파의 파장과 진동수도 입사파와 반사파의 파장과 진동수와 같다. 그림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통찰.. 2020. 11. 17.
[2015개정 물리학1] 파동의 간섭 1. 파동은 왜 sin함수의 형태로 표현할까? 파동은 왼쪽 그림처럼 주로 'sin함수' 형태로 표현된다. 한 번은 이런 질문을 해보았을는지 모르겠다. 파동은 하고 많은 함수 중에 왜 sin함수 형태로 표현될까? 그에 대한 답은 오른쪽 그림에 있다. 파동을 수학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만든 '파동 방정식'의 해가 'sin함수'이기 때문이다. 물결파든 지진파든 줄 파동이든 모든 파동은 '파동 방정식'을 만족하는 'sin함수' 형태를 해로 가지고 있다. 2. 파동의 중첩과 독립성 파동 방정식의 해가 'sin함수'이기 때문에 파동은 입자가 갖지 못하는 고유한 성질 두 가지(중첩과 독립성)를 가지고 있다. 입자와 파동, 각각 서로 만났을 때 일어나는 일? 입자의 충돌 파동의 중첩 두 야구공이 서로 충돌하면, 충돌 후.. 2020. 11. 11.
[고급물리],[파동광학],[간섭과 회절] 마이켈슨-몰리 실험의 의의 1. 파동 '파동'이란 에너지를 전달하는 하나의 형식이다. 파동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다. 파동이 진행하여 에너지를 전달하려면 '매질'이라는 물질이 필요하다. 수면파의 매질은 물, 음파의 매질은 공기, 지진파는 지구 내부 구조, 줄 파동은 줄, 용수철 파동은 용수철이 되겠죠. 이 다양한 파동은 파동의 진행방향과 매질의 진동방향의 관계에 따라 횡파와 종파로 구분했다. 매질의 진동방향과 파동의 전파 방향이 수직한 파동을 횡파라 하고, 매질의 진동방향과 파동의 전파 방향이 나란한 파동을 종파라 합니다. 지진파의 S파와 수면파가 대표적인 횡파이고, 지진파의 P파와 음파가 대표적인 종파입니다. 이러한 파동의 진행을 수식으로 표현하고자 할 때 위치와 시간 변수 관계로 구성된 함수를 사용하기도 하고, x위치와 .. 2020. 5.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