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64

부모로부터 독립하는 아이, 과학에게 있어 부모란? 사실 과학이 지금처럼 숭고한 지위를 갖는 학문은 아니었다. 과학이라는 학문이 가지는 자체의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한 것은 19세기로 비교적 최근이었다. 생각보다 과학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진 역사는 짧다. 한 인간이 부모에게서 태어나면 부모에게 종속되듯이 과학도 철학과 종교에 종속되었다. 왜냐하면 과학은 철학과 종교안에서 태어난 학문이었기 때문이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세상을 보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자연을 탐구하였고, 그러한 목적을 위한 도구로써 과학을 한 것이었다. 사유를 기반으로 한 통찰과 직관은 아르키메데스를 비롯한 여러 철학자로 하여금 '유레카!'를 외치도록 만들며 세상을 이해할 수 있게 만드는 수많은 힌트들을 탄생시켰다. 그러한 힌트들을 받아먹으며 성장하는 과학이었지만 어디까지나 과학은 철학.. 2020. 6. 21.
세상을 바꾸는 힘은 내안에 있다. 에 나오는 양철 나무꾼은 심장을, 허수아비는 뇌, 사자는 용기를 원한다. 그들은 오즈에 도착하면 위대한 마법사가 자신에게 심장을 줄 거라고 생각하며 도로시와 함께 노란 벽돌길을 따라 걷는다. 하지만 여행이 끝날 무렵 그들은 위대한 마법사가 사기꾼이고 그들이 원하는 것을 줄 수 없음을 깨닫게 된다. 그럼에도 그들은 훨씬 더 중요한 것을 발견하는데 바로 그들이 바라는 모든 것이 이미 그들 안에 있다는 사실이다. 감정과 지혜와 용기를 갖고자 한다면 신과 같은 마법사는 필요없다. 그저 노란 벽돌길을 따라 걸으며 도중에 겪는 경험들을 온전히 받아들이기만 하면 된다. -호모데우스 중에서- 왜 하룻밤 자는데 굳이 50만원 거금을 들여 고급 호텔을 잡는거야? 어차피 똑같은 비행기타고 미국가는건데 왜 돈을 더 줘서 비즈.. 2020. 6. 15.
[고급물리학 프레젠테이션] 열기관, 인쇄술과 같은 사소한 과학기술이 인류 문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여우와 토끼는 자기 세계의 경제를 발전시키지 못한다. 여우는 토끼를 계획적으로 양껏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지도 않고 그럴 생각도 없다. 그저 자연의 순리대로 그때그때 토끼들이 번식을 활발히 한다면 여우는 풍족한 식량을 향유할 것이며 그렇지 않다면 굶어 죽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토끼도 초원에서 자라나는 풀을 어떻게 해야 더 많이 자라게 하는지에 대한 지식과 기술은 모를뿐더러 생각조차 하지 않을 것이다. 여우와 토끼에게 있어서 경제란 고정된 파이를 적당히 배분하여 자급자족하는 활동일 것이다. 뭐 그런 생각조차도 하지 않을 것이다. 전근대의 인간들에게 있어서도 여우와 토끼의 상황과 별반 다를 바가 없었다. 그들에겐 모든 것이 제한되어 있었다. 한 해 농사가 잘 돼도, 농사가 잘 안돼도 모든 것은 신.. 2020. 6. 11.
깨달음을 목적으로 하는 한 깨달을 수 없다. 누구나 다이어트를 시작하면 나름대로의 목표가 생길 것이다. 나는 44사이즈까지 다이어트할거야! 나는 올해 여름에 비키니를 꼭 입고 해수욕장을 가겠어! 나는 올해 몇 키로까지 빼겠어 비단 다이어트말고도 다양한 분야의 목표들을 세우면서 살아갈 것이다. 누구나 말이다. 다만 이러한 목표들의 공통점이 모두 종착점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꼬집고 싶어 이 글을 쓴다. 단적인 예, 내가 다이어트를 했을 때를 예로 들겠다. 65kg까지 살을 빼기위해 열심히 운동도 하고 식이조절도 하고 정신수양도 겸하며 열심히 다이어트를 하다가 막상 65kg가 되면 억눌린 보상심리가 걷잡을 수 없이 터져나오면서 마구 먹고, 운동도 안하며 원초적 욕구를 좇는 동물과 같은 삶을 살다가 다시 살이 찌면 '65kg까지 살을 빼자.' 라는 목표.. 2020. 6.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