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023 물리학I 판서 조직도15

자기력과 물질의 자성(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상자성체, 반자성체, 강자성체) 물리학Ⅰ 전개도 아웃라인 핵심 개념 ①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②상자성체 ③반자성체 ④강자성체 목표 기출 문제 15년도 수능 물리1 10번 답: 3번 14년도 7월 학평 물리1 9번 답: 4번 15년도 6월 모평 물리1 5번 답: 1번 1. 자기장 1) 자기장과 자기력선 '자기장'이란 자기력이 작용하는 공간을 의미하며, '자기력'이란 자성(자기적인 성질)을 띤 물체끼리 상호작용하는 힘을 가리키는 것으로써 자기력의 방향은 '자기력선'으로 표시된다. 자기력선의 특징 ①N극에서 나와 S극으로 들어가는 모양의 닫힌 곡선이다. ②자기력선의 간격이 좁을수록 자기장의 세기가 강하다. ③자기력선 위의 한 점에서 그은 접선 방향이 그 점에서의 자기장 방향이다. ④자기력선은 도중에 갈라지거나 교차되지 않는다. 2) 전기력 v.. 2023. 2. 14.
에너지띠와 반도체(고체의 에너지띠, 불순물 반도체, p-n접합, 전기 회로 분석) 물리학Ⅰ 전개도 아웃라인 핵심 개념 ①고체의 에너지띠 ②불순물 반도체 ③p-n 접합 ④전기 회로 분석 목표 기출 문제 18년도 9월 모평 물리 1 2번 답: 5번 13년도 3월 학평 물리1 8번 답: 5번 15년도 9월 모평 물리1 3번 답: 3번 16년도 수능 물리1 12번 답: 4번 1. 고체의 에너지띠 1) 고체의 에너지띠 이론 수소 원자엔 전자가 한 개 있다. 전자가 점유할 수 있는 궤도(=에너지 준위)는 왼쪽 그림처럼 불연속적이다. 원자핵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인접한 궤도 간격은 좁아진다. 고체는 수많은 원자들이 결합된 구조다. 고체를 이루는 원자의 종류가 수소뿐이라는 극단적인 가정을 해보자. 수소 원자가 두 개 있든, 세 개 있든 당연히 각각의 수소 원자 내의 전자는 똑같은 궤도를 점해야 .. 2023. 2. 13.
원자와 전기력(쿨롱 법칙, 보어의 원자 모형) 물리학Ⅰ 전개도 아웃라인 핵심 개념 ①쿨롱 법칙 ②보어 원자 모형 목표 기출 문제 14년도 7월 학평 물리1 8번 답: 3번 14년도 9월 모평 물리1 12번 답: 5번 19년도 9월 학평 물리1(고2) 16번 답: 1번 1. 전기력 1) 전하와 전기력 ①전하 질량은 입자의 역학적 현상에 관여하는 입자적 성질이다. '전하(電荷)'란 이러한 논리 구조를 차용하여 탄생한 개념이다. 즉, '전하'란 전기적 현상을 일으키는 입자적 성질로써 질량에 대응되는 개념이다. ②전기력 질량을 가진 물체끼리는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만 작용하기 때문에 양(+)의 질량처럼 한 종류만이 정의되지만, 전기를 띠는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기도 하고 밀어내기도 한다. 이는 전하는 질량과 달리 두 종류가 있음을 의미한다. 전하는 양(+) 전.. 2023. 2. 11.
시공간과 에너지(동시성의 상대성, 시간 지연, 길이 수축, 질량-에너지 등가 원리, 핵반응) 물리학Ⅰ 전개도 아웃라인 핵심 개념 ①동시성의 상대성 ②시간 지연 ③길이 수축 ④질량-에너지 등가 원리 ⑤핵반응 목표 기출 문제 21년도 9월 모평 물리학1 11번 답: 3번 21년도 6월 모평 물리학1 17번 답: 3번 18년도 6월 모평 물리1 7번 답: 5번 20년도 6월 모평 물리1 5번 답: 4번 1. 특수 상대성 이론의 기본 원리 1) 특수 상대성 이론의 첫 번째 가정, 상대성 원리 시간의 흐름을 표현하라고 하면 '과거 - 현재 - 미래'의 순서로 쓰는 것에 아무도 반대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이처럼 시간을 1차원 직선형으로 생각하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우리에게 시간은 0.5차원이다. 시간은 과거에서 미래로의 한 가지 방향으로만 흐르기 때문이다. 1차원의 시간이라면 미래에서 과거로도 시간이 흘.. 2023. 1.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