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전도도1 [2015개정 물리학1] 고체의 에너지띠 이론 금속에서 전류를 전도하는 능력만큼 크게 변하는 특성은 없다. 이처럼 전류가 얼마나 잘 흐르는지를 나타내는 물질의 특성을 전기 전도성이라 하며, 물질의 전기 전도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물리량을 '전기 전도도'라 한다. '전기 전도도'는 비저항의 역수와 같다. 온도가 일정할 때 물체의 저항 R은 물체의 길이 L에 비례하고, 단면적 A 에 반비례한다. 이때 비례 상수 p를 비저항이라 하며, 이 비저항이 큰 물 질일수록 전류가 잘 안흐른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비저항은 전기전도도와 반비례 관계이다. 이처럼 물질은 전기적 성질에 따라 도체, 반도체, 절연체로 분류된다. 그렇다면 무엇 때문에 다이아몬드는 절연체로, 구리는 도체로, 그리고 실리콘은 반도체로 되는가? 그에 대한 답은 고체의 에너지띠 이론을 배운다면 설명.. 2020. 7.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