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기조직화된 임계성2

[복잡계 네트워크] 꼰대라서 멸종한 공룡 사람이 지구에 나타나기 훨씬 전에 지구를 지배하던 동물이 있었다. 바로 공룡이다. 지금부터 약 2억 3,000만 년 전 공룡이 처음 나타나서 사라질 때까지 지구는 거대한 파충류인 공룡의 세상이었다. 학자들은 2억 년 가까이 지구의 주인으로 살아가던 공룡이 갑자기 멸종하게 된 원인을 여러 가지로 말하고 있다. 그중에서 가장 설득력 있는 것은 지구와 거대한 운석의 충돌설이다. 자연스럽게 진화하듯 자연스럽게 멸종, 그 기저에 있는 복잡성 네트워크 정말로 그 많은 공룡들의 멸종 원인을 운석이라는 하나의 변수로 단정 지을 수 있을까? 다양한 변수가 산재돼있는 생태계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인과관계를 단 하나의 우발적인 변수로 설명한다는 건 너무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이지 않을까? 멸종도 사실 생태계의 자연스러운 패턴의.. 2020. 12. 22.
정규 분포로 설명되지 않는 복잡계 네트워크 많은 물체들로 이루어진 계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할 때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맥스웰의 기체 분자 운동론이나 엔트로피 등 열역학적 현상들은 통계적인 방식으로 설명했었다. 이러한 통계론적 열역학은 정규분포곡선을 기본 전제로 둔다. 한편 계를 구성하는 많은 요소들이 서로 상호 작용하여 복잡한 집합적인 특성들을 보이는 복잡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최근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림은 전 세계 공항의 국제선을 네트워크로 나타낸 것인데, 이처럼 네트워크 이론을 이용하여 복잡계의 특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복잡계 네트워크는 물리 현상뿐만 아니라 생물, 기술, 경제 분야 등의 다양한 현상들을 설명한다. 자기 조직화된 임계성 '브라질 땅콩 효과'는 크기가 각각인 여러 종류의 땅콩이 들.. 2020. 7.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