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에너지4 문명과 에너지 ① {에너지의 전환과 보존, 열기관의 열효율} 에너지의 역사 네 발로 기어 다니던 인류가 직립 보행을 하게 되면서 얻은 가장 큰 이점은 '손의 사용'입니다. 손과 뇌의 전두엽이 신경으로 이어져 있다 보니 손의 활발한 사용이 전두엽 발달을 촉진시켰고, 똑똑해진 인류는 도구와 불을 이용하기에 이르렀죠. 이때 인류는 불로 음식을 익혀먹기 시작하면서 생존 확률도 올라가게 되고, 날것을 소화시키는데 많이 사용되었던 에너지가 뇌의 발달에 쓰임으로써 생체에너지 효율이 올라감에 따라 인류 지능의 발전화에 가속이 붙었어요. 두 발로 걷기 시작한 구석기 시대의 인류와 네 발로 기어 다니는 영장류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눈을 자세히 보면 흰자위와 검은자위가 구분되는지의 여부입니다. 직립보행을 하며 네 발로 기어 다녔을 때보다 시야가 넓어진 유인원에게 어떤 진화적 기제.. 2024. 8. 12. 일과 에너지(공간으로 바라본 힘) gooseskin.tistory.com/157 운동량과 충격량 (시간으로 바라본 힘) gooseskin.tistory.com/154 상호작용하는 두 힘의 관계(뉴턴 운동 3법칙) gooseskin.tistory.com/152 힘, 질량, 가속도의 관계를 정리한 뉴턴 gooseskin.tistory.com/147 여러 가지 물체의 운동 학습목표 여러 가.. gooseskin.tistory.com 학습 목표 직선상에서 운동하는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되는 경우와 열에너지가 발생하여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되지 않는 경우를 구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핵심 키워드 조직도 ※ 학습 목표 및 핵심 키워드 조직도 분석 (밑의 '더보기'를 클릭) 더보기 운동 상태 변화를 비롯한 물리학적 현상의 원인은 '힘(F)'이라는.. 2021. 4. 5. [2015개정 통합과학] [9.발전과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의 역사 가정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기기는 전기 에너지를 사용한다. 이처럼 전기 에너지의 활용도가 높은 까닭은 전기 에너지가 다른 에너지로의 전환이 매우 쉽고 편리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전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을뿐더러 화석 연료와는 달리 사용할 때 환경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은 세련된 방식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이렇게 편리하고 세련된 전기 에너지를 쓸 수 있었던 배경에는 어떠한 과학적, 역사적 서사가 숨어있는지 이 시간에 확인해본다. 그 서사는 구석기 시대에서부터 시작한다. 네 발로 기어다니던 인류가 직립 보행을 하게 되면서 얻은 가장 큰 이점은 손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손과 뇌의 전두엽이 신경으로 이어져 있어 손의 활발한 사용이 전두엽 발달을 촉진시켰고, 똑똑해진 인류는 도구와 불을 이용.. 2020. 9. 3. [2015 개정 물리학1] 3. 시공간과 에너지 - 질량 에너지 동등성- 1. 빛보다 빠른 속력으로 움직이는 물체? 아인슈타인에 따르면 어떤 관측자가 보든 빛의 속력은 항상 299,792,458 m/s로 불변이다. 그림처럼 갈릴레이의 상대성 원리에 의해서는 두 물체의 상호작용 방향에 따라 상대속도가 바뀌게 된다. 마찬가지로 오른쪽으로 10m/s 달려가는 자동차에서 5m/s로 물건을 오른쪽으로 던진다면 그 물체는 바깥 관측자 입장에서 보았을 때 15m/s의 속력으로 오른쪽으로 날아가는 것으로 볼 것이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의 광속 불변을 적용하여 갈릴레이의 상대성 원리를 수정하면 그림처럼 우주선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든 광원으로부터 오는 빛의 속력은 c로 일정하다. 마찬가지로 빛의 속력으로 달려가는 자동차에서 빛의 속력으로 물건을 던져도 바깥의 관측자는 그 물체의 속력을 2c로 .. 2020. 7.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