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뉴턴4 중력을 받는 물체의 운동 ③ {천상과 지상의 통합} 해당 차시 학습지 파일통합과학 전개도 판서 조직도 남들의 시간은 앞으로 쭉쭉 나아가는 것 같은데, 왜 내 시간은 쳇바퀴처럼 하릴없이 제자리만 도는 거 같은지. 분명 앞으로 나아간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제자리였음을 알게 됐을 때 느껴지는 시간에 대한 배신감. 그 어설프고 초라한 시간의 째깍거림에 삐걱거리며 바닥을 향해 고꾸라지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소위 현타가 온다고 하죠. 빙빙 돌아가는 시간을 따라 주기적으로 찾아오는 현타. 그에 삐끗하지 않고 중심을 잡아가는 방법은 오늘 공부할 물리학이 가르쳐줍니다. 4. 천상과 지상의 통합 옛날 사람들은 달이 지구를 중심으로 원운동 하는 이유를 천상의 운동이란 완벽하고 이상적인 모양인 원을 추구하기 때문이라는 신학적 관념에서 찾았습니다. 그러나 뉴턴은 중력 이.. 2025. 3. 8. [고급물리학] 행성의 운동과 케플러 법칙 {만유인력} 2021.04.19 - [2024 고급물리학] - [고급물리학] 관성모멘트와 돌림힘으로 설명하는 회전 운동 {돌림힘, 관성모멘트, 각운동량} [고급물리학] 관성모멘트와 돌림힘으로 설명하는 회전 운동 {돌림힘, 관성모멘트, 각운동량} 2024.03.29 - [2024 고급물리학] - [고급물리학] 입자계의 운동 {운동량 보존 법칙, 운동량과 충격량, 질량 중심} [고급물리학] 입자계의 운동 {운동량 보존 법칙, 운동량과 충격량, 질량 중심} 2024.03.28 - gooseskin.tistory.com 학습 목표 케플러의 세 가지 운동 법칙을 이용하여 행성의 운동을 분석할 수 있다. 케플러 법칙을 이용하여 인공위성의 궤도, 속도를 구할 수 있다. 물리학 전개도 요하네스 케플러는 그의 스승 티코 브라헤가 평.. 2024. 4. 11. 물리가 부르는 세월(歲月)의 섭리 인간은 공간을 통해 사회적 소통과 공동체 의식을 강화시켜 왔다. 모닥불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모닥불에 가까이 가면 뜨겁고 멀리 떨어지면 춥다. 따라서 사람들은 모닥불을 중심으로 불로부터 같은 거리를 두고 주변에 둥그렇게 앉는다. 이때 모든 사람은 모닥불을 쳐다본다. 사회 구성원이 모두 한 곳을 바라본다는 것은 그 사회에 구심점이 생겼다는 걸 의미한다. 모닥불을 매개로 모여든 사람들 모두 다닥다닥 앉아 서로의 추억을 곱씹고, 아쉬웠던 이야기를 하기도 하며, 미래를 다짐하는 등 서로가 소통과 공감을 하면서 연대의식을 다져본 경험을 누구나 한 번쯤은 가져보았을 것이다. 인간은 과거에는 하늘의 불인 태양을 보거나 태양빛을 반사하는 달을 쳐다보며 섬겼다. 이 시기 사회의 구심점은 태양과 달이었다. 먼 하늘에 있.. 2021. 3. 10. 부모로부터 독립하는 아이, 과학에게 있어 부모란? 사실 과학이 지금처럼 숭고한 지위를 갖는 학문은 아니었다. 과학이라는 학문이 가지는 자체의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한 것은 19세기로 비교적 최근이었다. 생각보다 과학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진 역사는 짧다. 한 인간이 부모에게서 태어나면 부모에게 종속되듯이 과학도 철학과 종교에 종속되었다. 왜냐하면 과학은 철학과 종교안에서 태어난 학문이었기 때문이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세상을 보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자연을 탐구하였고, 그러한 목적을 위한 도구로써 과학을 한 것이었다. 사유를 기반으로 한 통찰과 직관은 아르키메데스를 비롯한 여러 철학자로 하여금 '유레카!'를 외치도록 만들며 세상을 이해할 수 있게 만드는 수많은 힌트들을 탄생시켰다. 그러한 힌트들을 받아먹으며 성장하는 과학이었지만 어디까지나 과학은 철학.. 2020. 6.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