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3 부모로부터 독립하는 아이, 과학에게 있어 부모란? 사실 과학이 지금처럼 숭고한 지위를 갖는 학문은 아니었다. 과학이라는 학문이 가지는 자체의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한 것은 19세기로 비교적 최근이었다. 생각보다 과학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진 역사는 짧다. 한 인간이 부모에게서 태어나면 부모에게 종속되듯이 과학도 철학과 종교에 종속되었다. 왜냐하면 과학은 철학과 종교안에서 태어난 학문이었기 때문이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세상을 보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자연을 탐구하였고, 그러한 목적을 위한 도구로써 과학을 한 것이었다. 사유를 기반으로 한 통찰과 직관은 아르키메데스를 비롯한 여러 철학자로 하여금 '유레카!'를 외치도록 만들며 세상을 이해할 수 있게 만드는 수많은 힌트들을 탄생시켰다. 그러한 힌트들을 받아먹으며 성장하는 과학이었지만 어디까지나 과학은 철학.. 2020. 6. 21. 2020 과학에 대한 고찰 3년 여의 중학교 생활을 마치고 고등학교로 들어와 다시 초심을 다지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방학과 등교개학전까지 장장 5개월 동안 집에서 여러분 나름대로 고등학교 라이프를 준비했을거라 생각이 됩니다. 이 프레젠테이션이 여러분의 고등학교 3년 생활의 첫단추를 잘 꿰멜 수 있도록 도움이 되기를 희망하며 발표 시작하겠습니다. 위 그림들을 보면 어떻습니까? 가운데에 투명한 삼각형과 사각형이 밑의 원과 각각의 도형들을 포개어 놓은 듯하게 보일 것입니다. 세번째 그림을 보면 달마시안이 길바닥을 훑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처럼 우리의 뇌는 실제로 있지도 않은 것을 있는 것처럼 판단하는 오류를 범하는데 이를 '착시'라고 부릅니다. https://allclip.sbs.co.kr/end.html?clipid=C0.. 2020. 6. 3. 외계인이 정말 있을까? - 진정한 우리를 탐색하기 위한 여정의 시작- 지각을 구성하는 물질은 산소와 규소로 이루어진 규산염 광물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고, 생명체는 탄소를 공유하는 탄소 화합물과 물이 주를 이룹니다. 대기에는 질소와 산소가 주를 이루고 수권은 풍부한 물이 주를 이룹니다. 곧 지구엔 탄소와 산소 그리고 물이 풍부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어쩌면 지구에 탄소와 물이 흔했기 때문에 우리 생명체가 탄소와 물로 구성될 수밖에 없었는지도 모릅니다. 여러 분자들로 하여금 유기화학작용이 가능할 수 있는 용매 역할을 하고 생각보다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액체로 존재할 수 있는 물, 공유할 수 있는 최외각 전자가 네개로 가장 많았던 탄소가 여러 원자들과 결합하기가 용이했기 때문에 우리 생명은 복잡한 탄소화합덩어리가 될 수 있던 것이었습니다. 이 모든 것이 태초에 지구하는 .. 2020. 4.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