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갈릴레이2

때로는 불편함을 즐겨라. [넛지-목성의 위성을 발견한 갈릴레이] [과학 프레젠테이션] 머나먼 하늘에 떠 있는 별이나 행성을 보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합니까? 그렇습니다. 망원경이 필요합니다. 하늘에 관심이 많았던 갈릴레이는 관찰한 여러 결과를 종합하여 태양이 지구 주위를 움직이는 것이 아니고, 지구가 태양 주위를 움직인다는 지동설을 주장합니다. 천동설이 팽배했던 로마 가톨릭 시대였기 때문에 지동설을 접으라고 강요받기도 했었고, 심지어 끔찍한 고문과 죽음의 위협까지 받았지만 갈릴레이는 뜻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그는 하늘에 관한 연구를 지속할 수 있었을까요? 네덜란드가 그를 받아주었기 때문이죠. 사상의 자유를 존중하는 네덜란드는 지동설에 반감이 없었기에 당시 이탈리아에 있었던 갈릴레이에게 교수직을 제의했고, 갈릴레이는 그 덕에 천체 망원경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그 덕에 태양의 흑점,.. 2020. 4. 26.
인문과학적 사색 -나만의 장점- 세상 사람들은 왜 하늘에 관심이 많았을까요? 사슴과 들소는 철에 따라 이동하므로 한 지역에서 잡을 수 있는 사냥감은 계절에 따라 늘고 줄기를 반복합니다. 과일은 익는 때가 따로 있으니 계절을 알아야 제대로 익은 것을 제때에 따먹을 수 있습니다. 농업 기술의 발명 이후 작물을 때에 맞춰 심고 거둬들여야 할 필요가 생겼습니다. 그러므로 하늘의 달력을 읽을 줄 아느냐에 따라 목숨이 좌우되기도 했습니다. 해가 뜨고 해가 지고 달이 뜨고 달이 지고 세계 각지의 사람들이 항시 눈여겨 관찰한 자연의 순환 현상을 통해 우리 조상들은 죽음 너머의 또 다른 삶을 짐작했습니다. 세대가 바뀔 때마다 사람들은 자신의 조상으로부터 많은 것을 배워왔습니다. 해와 달과 별의 위치와 그들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알면 알수록 사냥을 언제 .. 2020. 4.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