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I3 규석기 시대의 반도체 지금은 규석기 시대 20세기, 원자와 고체라는 무미건조한 물체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면 반도체는 존재할 수 없었고, 반도체가 없었다면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비롯한 IT 기기는 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낼 수 없었을 겁니다. 우리의 삶과 떼려야 뗄 수 없는 IT 기기의 중요성과 동시에 그 안에 들어가는 반도체의 재료가 '규소'라는 사실을 상기한다면 지금 우리는 규석기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그렇다면 반도체는 어떤 특성을 지녔기에 규석기 시대를 장악한 핵심 아이템이 되었을까요? 그 답은 바로 디지털(=이진법)에 있습니다. 반도체와 이진법 앞서 배웠듯이 pn 접합에 가해지는 전압의 방향은 전류 흐름의 여부를 결정했습니다. 반도체는 이러한 전류의 흐름을 정보의 최소 단위인 0과 1의 비트로 표현.. 2023. 8. 29. 패러다임 Shift (블록체인, 암호화폐, 테슬라) https://youtu.be/TBzArOdCwm8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요즘 나의 웃음 지뢰인 나일론 머스크의 신곡 '화성에 둥지'다. 얘네는 창작의 고통도 없나 보다. 기발한 콘텐츠가 숭덩숭덩 튀어나온다. 이 채널에 있는 아이구의 '꼴은 날'과 코인 시대의 도Gee도 강추한다. 딥 페이크를 버무린 개그 콘텐츠로 단순히 치부하기엔 코인 및 주식 투자로 고통받는 사람들의 페이소스와 해학을 절묘하게 녹여냈고 요즘 뉴스에 숱하게 거론되는 암호화폐 및 주식 투자 키워드를 자주 등장시켜 물 들어오니 노 젓는다고 새로운 밈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중이다. 그만큼 암호화폐를 비롯한 신기술에 관심이 많은 요즘 세대이다. 암호화폐의 일종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도지코인 그리고 이것들을 가능하게 한 블록체인 기술 .. 2021. 5. 21. 우리는 미미쥬쥬다. 튜링 테스트에 따르면 컴퓨터가 마음을 갖고 있는지 알려면 컴퓨터 그리고 사람과 동시에 소통해야 한다. 이때 당신은 어느 쪽이 컴퓨터이고 어느 쪽이 사람인지 모른다. 당신은 원하는 질문을 무엇이든 할 수 있고 상대방과 게임하고 논쟁하고 심지어 장난도 칠 수 있다. 시간도 원하는 만큼 쓸 수 있다. 그런 다음 어느 쪽이 컴퓨터이고 어느 쪽이 사람인지 결정해야 한다. 당신이 결정을 내리지 못하거나 실수하면 그 컴퓨터가 튜링 테스트를 통과한 것이고, 그 컴퓨터를 실제로 마음을 지닌 존재처럼 취급해야 한다. 하지만 이것은 실제 입증이 아니다. 다른 마음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은 단지 사회적, 법적 관습일 뿐이다. 튜링 테스트는 1950년 영국에서 모든 동성애자 남성이 받아야 했던 일상적인 테스트('당신은 이성애자 .. 2020. 5.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