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선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2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과 물질의 자성(암페어 법칙, 강자성체, 상자성체, 반자성체, 초전도체,자화) 왜 알아야 되죠? 해양 생물의 서식지는 비교적 깜깜하기 때문에 시각에만 의존하며 살 수 없어. 그래서 상어는 전자기 신호를 감지하여 먹이를 포획한대. 매년 똑같은 산란지를 찾아오는 송어도 상어와 유사하게 자기장 신호를 감지하여 이동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어. 바다를 표류하며 생활했던 바이킹들과 어부들이 구름이 잔뜩 낀 하늘 속에서 별과 태양을 보지 못해도 방향을 잘 잡을 수 있었던 비결도 바로 여기에 있지. 이 단원을 통해 '자기적인 현상'이라고 하면 단순히 자석과 나침반만 떠올리기엔 '자기장'이 자연 속에서 다양한 방면으로 등장하게 됨을 알 수 있고, 달라 보이는 전기력과 자기력이 사실은 서로 상호 작용하는 관계라는 직관도 얻어가게 될 거야. 기출 경향 두 개 이상의 전류(직선 전류, 원형 전류.. 2021. 1. 20. [2015개정 물리학1]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https://gooseskin.tistory.com/71 [2015 개정 물리학1] 자기장과 자기력선 1. 자기장의 활용가치 상어는 평상시에 햇빛이 잘 들지 않는 수심 150m 아래서 활동하다가 배가 고프면 표층해수대로 진입한다. 깊은 바다에 사는 해양 생물들은 깜깜한 곳에 살기 때문에 시각에� gooseskin.tistory.com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하나의 커다란 막대자석이다. 이러한 지구 주변에 생기는 자기장 덕분에 우리는 유해한 우주선과 태양풍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아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지구 자기장은 지구의 남극에서 나가고 지구의 북극으로 들어오는 방향을 가리킨다. 따라서 지구의 북극은 자석의 S극에 지구의 남극은 자석의 N극에 대응시킬 수 있다. 과거의 선조들은 지구 자기.. 2020. 8.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