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빛의 입자성2 물리에게 '아인슈타인'이란? part 2 (광전효과, 물질파, 전자의 간섭) gooseskin.tistory.com/141 물리에게 '아인슈타인'이란? part 1 (동시성의 상대성, 시간지연, 길이수축, 질량-에너지 등가 원리 애들아. 방과 후 수업도 이제 이틀밖에 안 남았어! 1년 동안 공부해야 할 양을 10일 분량으로 초압축해서 따라오기 정말 힘들었을 텐데 여기까지 잘 따라와 준 너희들이 참 장하다는 말을 해주고 gooseskin.tistory.com 전 시간에는 사고의 지평을 지구에서 우주로 넓혀 인류로 하여금 시간을 달리는 동기와 용기를 심어줬던 아인슈타인 이야기를 알아봤어. 아인슈타인 패러다임 덕분에 인류는 빛의 기원과 빛이 누비는 우주에서의 시공간 작동 원리를 알게 되었지. 빛이 인류를 우주로 초대해준 셈이야. 모든 것에는 균형이 필요하다는 자연의 규칙 때문일까? 어.. 2021. 1. 30. [2015 개정 물리학1] 광전효과 -빛의 입자성-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별에서 나온 빛은 우리 눈을 지나며 회절하여 별표와 같은 뾰족뾰족한 모습으로 보이게 된다. 이렇게 별빛이 뾰족뾰족하게 보이는 까닭은 빛의 파동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우리가 밤에 머리를 들어 밤하늘을 관찰할 때 별을 금방 볼 수 있다. 인간이 빛을 감지하려면 눈의 감광 색소가 별에서 오는 빛을 받아 변화되어야 한다. 빛이 파동이라면 눈 속의 감광 색소가 변화를 일으킬 정도의 에너지를 모으기까지 긴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즉, 빛이 파동이라면 밤하늘을 올려다볼 때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별을 볼 수 있지만 실제로는 하늘로 머리를 들면 바로 별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빛은 파동이 아닐 수도 있는 것인가? 1. 빛의 파동성 빛은 간섭과 회절 현상이 나타나며, 이것은 빛이 파동임을 .. 2020. 12.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