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불순물 반도체2 고체의 에너지띠 이론과 반도체(도체, 부도체, 반도체, pn접합) gooseskin.tistory.com/129 원자의 구조와 전기력(쿨롱 법칙, 보어의 원자 모형, 수소 원자 선스펙트럼) 왜 알아야 되죠? 전기로 작동하는 스마트폰의 내부 구조나 원리를 알지 못해도 사용하는 데 별다른 불편함은 없지. 하지만 생각을 해봐. 이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듣고, 게임이나 SNS를 할 수 있다 gooseskin.tistory.com 왜 알아야 되죠? 전류가 얼마나 잘 흐르는지를 나타내는 물질의 특성을 전기 전도성이라 하며, 물질의 전기 전도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물리량을 '전기 전도도'라 해. 아래 그림은 물질을 전기 전도도에 따라 분류한 그래프야. 이처럼 물질은 전기적 성질에 따라 도체, 반도체, 부도체로 분류되는데, 무엇 때문에 다이아몬드는 절연체로 구리는 도체로 실리콘은 반.. 2021. 1. 19. [2015개정 물리학1] 반도체와 P-N 접합 순수한 반도체는 전류가 잘 흐르지 않지만 인공적인 조작을 가하여 전기 전도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반도체 소자는 텔레비전, 컴퓨터, 스마트폰 등 대부분의 전자 제품에 쓰이고 있다. 1. 불순물 반도체 파울리 배타 원리에 따라 전자 하나는 하나의 양자 상태(궤도 양자수, 각운동량 양자수, 스핀 양자수 모두 고려한 양자 상태)에만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규소 원자 내의 14개 전자는 왼쪽 그림과 같이 가장 낮은 에너지 준위부터 차례대로 채워지며, 가장 바깥쪽 궤도에 존재하여 비교적 화학 결합의 참여에 용이한 4개의 전자를 원자가 전자라고 한다. 순수한 반도체를 이루는 저마늄(Ge), 규소(Si) 원자 모두 원자가 전자를 4개 가지고 있다. 각각의 규소 원자들은 인접 규소.. 2020. 7.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