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광양자4 물리에게 '아인슈타인'이란? part 2 (광전효과, 물질파, 전자의 간섭) gooseskin.tistory.com/141 물리에게 '아인슈타인'이란? part 1 (동시성의 상대성, 시간지연, 길이수축, 질량-에너지 등가 원리 애들아. 방과 후 수업도 이제 이틀밖에 안 남았어! 1년 동안 공부해야 할 양을 10일 분량으로 초압축해서 따라오기 정말 힘들었을 텐데 여기까지 잘 따라와 준 너희들이 참 장하다는 말을 해주고 gooseskin.tistory.com 전 시간에는 사고의 지평을 지구에서 우주로 넓혀 인류로 하여금 시간을 달리는 동기와 용기를 심어줬던 아인슈타인 이야기를 알아봤어. 아인슈타인 패러다임 덕분에 인류는 빛의 기원과 빛이 누비는 우주에서의 시공간 작동 원리를 알게 되었지. 빛이 인류를 우주로 초대해준 셈이야. 모든 것에는 균형이 필요하다는 자연의 규칙 때문일까? 어.. 2021. 1. 30. [2015 개정 물리학1] 광전효과 -빛의 입자성-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별에서 나온 빛은 우리 눈을 지나며 회절하여 별표와 같은 뾰족뾰족한 모습으로 보이게 된다. 이렇게 별빛이 뾰족뾰족하게 보이는 까닭은 빛의 파동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우리가 밤에 머리를 들어 밤하늘을 관찰할 때 별을 금방 볼 수 있다. 인간이 빛을 감지하려면 눈의 감광 색소가 별에서 오는 빛을 받아 변화되어야 한다. 빛이 파동이라면 눈 속의 감광 색소가 변화를 일으킬 정도의 에너지를 모으기까지 긴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즉, 빛이 파동이라면 밤하늘을 올려다볼 때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별을 볼 수 있지만 실제로는 하늘로 머리를 들면 바로 별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빛은 파동이 아닐 수도 있는 것인가? 1. 빛의 파동성 빛은 간섭과 회절 현상이 나타나며, 이것은 빛이 파동임을 .. 2020. 12. 1. [2015개정 물리학1] 보어의 원자모형과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 진폭과 파장이 동일한 두 파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여 중첩된 결과, 어느 방향으로도 진행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파동을 '정상파'라 한다. 정상파의 마디 양 끝 부분은 역학적으로 차폐되어있기 때문에 공기나 외부 저항이 없는 이상적인 상황이라면 계속 같은 진동수와 진폭으로 진동하게 되며, 이는 파동의 에너지는 소실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어는 이 정상파에 착안하여 수소 원자의 안정성을 설명하는 자기만의 개념을 만들어낸다. 1. 보어의 전자 궤도 의의 - 원자의 안정성 설명 보어는 에너지를 잃지 않는 원자 내의 특정 궤도가 있음을 가정했고, 이러한 궤도에 있는 전자는 에너지를 방출하지 않는 정상 상태에 있다는, 그때 당시에는 받아들이기 힘든 막무가내 무논리 전제를 주장한다. 즉 전자는 원자 내.. 2020. 7. 21. [고급물리학 양자역학 내용 1편] 흑체복사, 광전효과, 콤프턴산란, 물질파 뉴턴과 맥스웰의 업적때문에, 20세기 초의 물리학자들은 성경에 나오는 창조의 이야기를 다음과 같이 고쳐 썼을지도 모른다. 태초에 하나님은 하늘과 땅을 창조하시고, "빛이 있으라" 말씀하셨다. 인간이 수학과 과학이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자연의 기저에 숨겨진 신의 언어를 해석한 것처럼 보였다. 어디까지나 거시 세계로 한정한다면 말이다. 원자 단위의 미시 세계의 역학을 분석하기 위해 도입된 고전 통계학은 그 시대 다른 과학적 발견과 시너지를 일으키며 미시 입자들의 운동은 확률론적으로 해석하여야만 한다는 결론에 다다르게 하였다. 결정론적 관점에 익숙했던 아인슈타인을 비롯한 고전 물리학자들은 "신은 주사위 놀음을 하지 않는다."는 유명한 말을 하며 이러한 확률론적 접근을 거부하였다. 결국 신을 죽여버린 니체의 철학.. 2020. 6. 22. 이전 1 다음 반응형